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일반

인구 소멸 예상 지역을 주의하라

by 돈버는 윤쌤 2022. 11. 14.
반응형

여러분, 안녕하세요?

 

최근 우리나라의 고령화 비율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데,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합니다.

 

이 같은 노령화 지수는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 100명당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을 뜻하는 데, 우리나라는 2025년이면 초고령사회로 접어들 것으로 보고 있고 2030년에는 이 비율이 30%를 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즉, 인구 10명 중 3명이 65세 이상인 노인국가가 될 전망이고 출산율 저하로 인하여 이 비율은 2044년이면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고의 노인 대국이 될 전망입니다.

 

이 같은 고령사회가 되면 생산가능 인구(15~64세)가 줄어들게 되어 경제는 활력을 잃게 되고 모든 게 정체 내지 쇠퇴하는 사회로 접어들게 되겠지요.

이에 따라서 자연스레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에 대한 투자 감소와 결과적으로 일자리 소멸이라는 악순환을 불러올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정부가 금리인상으로 촉발된 부동산 침체를 살리기 위하여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있으나, 이들 인구 감소 지역에 대해서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서 살펴야 할 것이고 역으로 인구 소멸과 무관한 지역에 관심을 집중시켜야 할 것입니다.

 

 

<참고> 산업연구원(KIET) 인구소멸에 대한 단계별 위험지역 중 소멸 무관 및 안심지역 일부 발췌

 

 

산업연구원 산업경제분석 발췌

 

 

                                                                      문경 고모산성 정상에서 

 

 

 

 

 

 

 

 

 

 

 

 

 

 

반응형